Alone in the Dark (2008)

Alone in the Dark (2008)

评价数不足
어둠 속에 나홀로 한글패치 및 오류 해결법(For Korean)
由 Ganke 制作
어둠속에 나홀로 한글패치 위치와 오류관련해서 해결하는 가이드입니다.
   
奖励
收藏
已收藏
取消收藏
앞서 말하기전에


제가 예전에 겪었던 버그들을 해결해가면서 써왔습니다.
다만 제 주관적인 의견이라 다른 환경에서는 다를 수도 있으며, 오히려 더 나은 방법도 있을겁니다.
의견제보는 환영입니다.
한국어 음성 패치
다운로드 [drive.google.com] 파일 제공자: 사신권왕님 [itcm.co.kr]
게임 시스템 문제
게임 튕김 해결
현상
게임 시작하고 로딩 시 튕기는 문제

원인
최신 CPU와 GPU를 인식을 못해 최저 사양으로 설정하여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해결 방법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윈도우 ME 미만의 호환성모드로 변경합니다. 때에 따라서 전체화면 최적화 비활성화도 킵니다.
하지만, 여전히 해상도를 못바꾸는 이슈가 있습니다. 그럴경우 아래의 방법을 사용해야합니다.

패치
다운로드 [github.com]
d3d9 파일을 개조한 패치입니다. 내부에있는 두개의 파일을 게임 설치된 폴더에 넣어주세요.
이 경우 호환성옵션을 안바꿔도 되며, 스팀오버레이도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특이점으로는 d3d9.ini이라는 파일이 있는데 게임 설정을 단순하게나마 변경이 가능해집니다.
FPSLimit = 0 ForceWindowedMode = 0 Cores = 4
프레임 제한/창모드 여부(활성화:1)/할당 코어량
개발자 말로는 그 이상을 높이면 게임이 이전처럼 튕길가능성이 매우 높다고합니다.
검은 화면 문제
현상
게임은 실행은 되었으나 검은화면으로 더이상 진행이 안될때

해결방법
오디오 드라이버가 스테레오로 잡혀있는지 확인합니다.

오디오는 정상인 경우에는 DRM인 시큐롬이 제기능을 못하는 상태라 한번 초기화를 해야합니다.
시큐롬 제거툴[support.securom.com]

이 방법이 귀찮다면, 번거롭겠지만 위의 확장패치를 하여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해상도 설정 방법
현상
해상도옵션 진입이 안되거나, 자신의 모니터에 맞는 해상도 옵션이 안나올 때

해결 방법
  • %LOCALAPPDATA%\Atari\AITD\에 진입
  • res.aitd라는 파일을 찾는다.
  • 만약 없다면 메모장 파일 생성 후 확장자를 포함하여 위와 같은 이름으로 변경한다.
  • 편집하여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바꾼다.
  • 읽기전용으로 바꾼다.
ResolutionWidth = 1920 ResolutionHeight = 1080 NewResolution = 0 PrevResolutionWidth = 1920 PrevResolutionHeight = 1080
1080p 기준 내용
프레임 순간 끊김
현상
특정구간에서 동일한 프레임 드랍

해결 방법
이 게임은 오픈월드 게임과 같이 심리스 로딩방식이라 보이지않는 로딩으로 계속 불러오는 식입니다. 그래서 미세하게 끊길 수 있으나 그 잠깐의 끊김이 심하다 싶으면 만약 게임 설치 하드를 SSD로 하셨다면, HDD로 바꾸는걸 권장합니다. 이건 같은 엔진을 쓴 테스트 드라이브 언리미티드에서도 해결되는 문제라고합니다.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ssd 속도를 못이겨서 그런거같습니다.)
메모리 누수
현상
게임을 오래 진행할 수록 프레임이 낮아지는 문제

해결 방법
정확한 방법은 모릅니다.
이는 윈도우 10 이후에 바뀌어진 메모리 관리로 생긴 문제인걸로 추측이 됩니다. 가상메모리 캐쉬를 끄든가 NDU를 비활성화 하거나 사람마다 다릅니다. 그냥 제일 빠른건 게임 껏다가 다시키는겁니다. 다만 게임을 종료해도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서가 계속 상주하는 일이 있습니다. 심지어 스팀을 통해서 종료해도 그렇습니다. 작업관리자/세부정보에서 Alone.exe 라는 프로세스를 찾아서 강제로 끝내세요.
게임 옵션 확장 모드
개요
Unknownproject라는 사람이 게임을 개조해서 배포한 패치입니다.
개인적으로 써본바로는 많이 쾌적해졌습니다.
이 파일은 아예 근본적으로 뜯어버린 거라, 스팀과 연동이 안되는걸 유의하셔야 합니다.
어짜피 PC버전은 도전과제 기능이 없어서, 시간을 중요시여기지않는다면 상관이 없을겁니다.

이 패치는 아래와 같은 사람들에게 추천합니다.
  • 프레임 제한을 해제하고싶은자
  • 창모드를 하고싶은자(이건 다른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 울트라와이드로 하고싶은자
  • DXVK와 연동하고싶은자
다운로드[unknownproject.github.io]

해상도
위와 동일하게 현재 해상도로 맞춰주시면됩니다.
ResolutionWidth=1920 ResolutionHeight=1080 MinResolutionWidth=1920 MinResolutionHeight=1080 ResolutionHasChanged=0 PrevResolutionWidth=1920 PrevResolutionHeight=1080

설정
실행파일은 위에 설명한 호환성 설정을 건들여야합니다.

화면비
AutoDetectScreenRatio=1 ScreenAspectRatio=1.777778 GameAspectRatio=1.777778
16:9 화면비 기준으로 1.777778이다. 만약 다른 화면비를 가지고있다면 참고[ko.wikipedia.org]

전체화면
PCFullScreen=0
1로하면 전체화면으로 변경되어지나, 이럴 경우 화면옵션진입이 예전처럼 불가능해집니다. 개인적인 추천으로는 창모드로 냅둔 뒤에 Borderless Gaming[github.com]로 전체화면으로 만드는것을 권장합니다.

프레임 설정
MinFPS=20.0000 MaxFPS=60.0000
최소 FPS는 엥간하면 30 이상 안건들이는걸 추천합니다. 튕겨버리거나 게임속도가 바뀌어버립니다.
최대 FPS는 알맞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DXVK(VULKAN 사용)
다이렉트X 대신 벌칸API로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해당 충돌패치에서는 사용못하는 방법입니다. 다만, 확장 패치에서는 사용가능합니다.
  • DXVK[github.com]를 받습니다.
  • 압축을 풀어 32비트 폴더에 있는 dxgi.dll, d3d9.dll를 게임 설치 폴더에 넣습니다.
  • dxvk.conf 파일을 메모장으로 생성한 뒤 입맛에 맞게 설정값을 맞춥니다.
아래는 제가 개인적으로 쓴 설정값입니다.
dxgi.maxFrameLatency = 1 d3d9.maxFrameLatency = 1 dxgi.maxFrameRate = 0 d3d9.maxFrameRate = 0 dxgi.maxDeviceMemory = 4096 dxgi.maxSharedMemory = 4096 d3d9.samplerAnisotropy = 16 dxvk.numCompilerThreads = 0 d3d9.maxAvailableMemory = 4096 d3d9.memoryTrackTest = False
벌칸 특성상 캐시 생성으로 인한 끊김현상이 일어날수있습니다.
조작 문제
키배치
개요
기본적으로 키배치는 너무나도 근본없게 개판으로 나있어서 키입력을 미리 변경하는것을 권장하는 바입니다.

U#B 0 키가 뭔가요?

원래 정발 PC판에 없던 버그이지만, 스팀판으로 오면서 생긴 버그입니다.
U#B는 마우스를 말하는겁니다. 숫자별 액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 U#B 0 - 좌클릭
  • U#B 1 - 우클릭
  • U#B 2 - 휠클릭
  • U#B 3 - 보조키(뒤로)
  • U#B 4 - 보조키(앞으로)

뛰어내리려면 Prnscn을 누르세요
플레이 도중 케이블을 뛰어내리라고할때 스크린샷키를 누르라고할때가 있습니다. Q로도 뛰어내릴수있습니다.

인벤토리 탈출 불가문제
플레이 도중에 인벤토리 즐겨찾기 튜토리얼에서 키 입력표시가 꼬여있어서 막힌경우가 있을겁니다. 기본 즐겨찾기 키는 `입니다.

여기서 1, 2, 3, 4 키는 숫자키를 말하는게 아닙니다.

End, Left, Pgup, Home 입니다.

게임 패드 인식
현상
게임패드 입력이 안됨

해결 방법
게임 실행시 나타나는 키를 입력하라는 화면에서 A키를 눌러 패드가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그뒤에는 다시 인식이 안되는게 정상입니다.

설정에 있는 조작 옵션들어가서 아무거나 누른다음에 키변경하는 창이 뜨면 게임패드키 중 아무거나 누릅니다.
컨트롤러 인식이 되었다고 뜹니다. 나가기전까지는 키보드/마우스로만 조작해야합니다.
조작설정에서 나갈때 취소말고 확인을 해야 패드입력이 적용됩니다.

진동
진동은 기본적으로 꺼져있으니, 패드 인식하고 나서 나가기전에 설정하는걸 추천합니다.